paper review

· Paper Review
최근에 나온 논문을 읽어보고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혹시 부족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usechatgpt init success [Google Research] LM이 코드를 생성하여 풀이하는 방식으로 VQA 태스크를 처리 기존에도 어떤 이미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Question Answering 태스크는 꾸준히 발전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여러 이미지에 대해 annotation을 수행하여 이미지-텍스트 pair를 만드는 것은 분명히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하는 일입니다. 본 논문에서는 굉장히 재밌게도, 이 태스크를 LM을 통해 해결합니다. LM이 주어진 문제를 (필요하다면) 여러 작은 문제로 쪼개고, 각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코드를 작성하여 이를 실행시킨 뒤 결과를 취합하는 ..
· Paper Review
오래전(2019.04)에 나온 논문을 읽어보고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혹시 부족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usechatgpt init success [Cornell Univ.] contextual embedding을 이용하여 토큰 간 유사도를 계산하여 문장 생성을 평가하는 metric으로 BERT를 사용. 배경 기존에 언어 생성을 평가하는 지표는 이미 여러가지가 존재했지만 표면적인 유사도를 측정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많았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metric으로 n-gram 기반의 것들을 생각해보면, 단순히 글자 생김새가 다르다는 이유로 낮은 유사도 스코어를 갖게 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동일하게 생긴 단어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유사한 의미를 지닐 수가 있죠(즉..
· Paper Review
최근에 나온 논문을 읽어보고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혹시 부족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usechatgpt init success LLM 기반의 여러 챗봇들을 비교하여 어떤 성격유형을 지니는지 조사한 논문. ChatGPT의 성격은 MBTI 기준 ENFJ로 분석됨. 배경 LLM이 성장함에 따라 이로부터 단순히 도구적 효용성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의사소통 창구로 여기는 경향성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애초에 ChatGPT가 유명해지기 한참 전부터 국내에는 ‘이루다’라는 서비스가 굉장히 큰 주목을 받았었는데 이런 서비스를 바라보는 것과 유사한 관점이라고 느껴집니다. 본 논문에서는 LLM 기반의 챗봇들을 대상으로 MBTI 관련 질문들을 하여 각 성격 유형을 파악한 연구 결과를..
· Paper Review
최근에 나온 논문을 읽어보고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혹시 부족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usechatgpt init success 영어를 중심으로 학습된 다국어 모델들과 달리 한국어에 집중 강화된 모델인 Polyglot Korean 모델을 소개. 배경 LLM이 엄청난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태스크를 굉장히 잘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소수 언어들에 대해서는 약세를 보인다는 한계를 아직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인공지능 모델은 데이터를 학습 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 과정에서 해당 언어의 데이터가 적다면 당연히 좋은 성능을 발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multi-lingual 모델을 억지로 만드려고 하기보다는 특정 언어에 집중한 모델을 만드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느끼는 듯합니다...
· Paper Review
최근에 나온 논문을 읽어보고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혹시 부족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usechatgpt init success 마인크래프트에서 LLM으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는 agent를 만든 논문. 기존에 비해 3배 이상의 아이템 종류 생성, 2배 이상의 탐색, 15배 이상의 테크 속도를 달성. 배경 최근 강화학습 분야에서 구체화된 agent를 생성하는 것에 LLM이 활용되는 경향이 로보틱스나 게임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agent가 지식을 쌓거나 업데이트하거나 전이하지 못해 오래 생존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죠. 본 논문에서는 LLM으로 각 시점에 대해 적절한 태스크를 제안하고 - automatic curriculum 환경적 피드백을 통해 스킬을 연마하여..
· Paper Review
최근에 나온 논문을 읽어보고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혹시 부족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usechatgpt init success 이미지의 특정 포인트를 ‘잡아 당겨서’ 원하는대로 변환할 수 있도록 만드는 GAN 기반 모델 최근 가장 화제인 논문 중 하나로, 이미지를 변형하는 모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분야가 주목을 받은 이유 중 하나는 자연어로 이미지를 변형 시키는 기술이 나타났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 Microsoft Designer라는 서비스를 보면, 인공지능에게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여러 이미지(디자인 관련)를 생성하거나 변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연어만으로는 정밀한 컨트롤(예를 들어 물체를 몇 픽셀 정교하게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모델을 더 발전시..
chanmuzi
'paper review' 태그의 글 목록 (23 Page)